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결과가 정국에 미칠 파장이 적지 않을 전망이다. 30일 이를 두고 정치권 등에서는 다양한 의견과 해석이 나왔다.
◆상고 기각 시 '범에게 날개'
먼저 상고 기각으로 무죄가 확정된다면 이 후보는 자신의 '대세론'에 대한 마지막 물음표까지 떼게 된다. 피선거권에 영향을 주지 않는 100만원 미만 벌금형이 파기자판으로 확정되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우선 정치권에서는 이 후보가 민주당 후보로 확정됐으며 여론조사에서 크게 앞서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대법원이 상고 기각 외 다른 판결을 내리기에는 부담스럽지 않겠느냐는 인식이 팽배하다.
법리적 관점에서도 최근 사법부가 정치인의 공개적 발언에 대해 표현의 자유를 폭넓게 인정하는 추세라는 분석도 이런 판단에 힘을 보탠다.
2020년 권순일 전 대법관이 관여했던 이 후보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판결이 근거가 돼 이번에도 무죄 판결이 나올 것이란 관측도 있다. 이때 대법원은 2018년 경기도지사 선거 당시 TV 토론에서 자신의 친형 강제 입원시도와 관련한 질문에 '시키지 않았다'고 답변한 이 후보에게 7대 5로 무죄취지 파기환송 결정을 내렸다.
당시 대법원은 이 발언이 자신의 직권 남용을 부인한 것이며 허위사실 공표라고 보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놨다. 아울러 설령 일부 사실이 부정확하더라도 유권자를 속이기 위한 목적의 허위사실 공표로 보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놨다.
◆유죄취지 파기환송·파기자판
유죄취지 파기환송이나 대법원이 양형까지 정해서 판결을 확정하는 '파기자판' 가능성도 거론된다. 당초 전합 선고 시점이 빨라야 5월 8일 전후일 것이란 전망이 많았으나 1일까지 당긴 것은 대선 후보 등록일을 고려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여기에 힘을 보탠다.
대선 후보 등록일이 5월 11일 마감되는 것을 고려하면, 1일에는 피선거권 박탈형이 선고되거나 유죄취지 파기환송으로 리스크가 생기더라도 민주당이 대응할 말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합이 유죄 취지 파기환송을 정할 경우에는 사건을 다시 선고할 2심 재판부의 판단에 다시 이목이 쏠린다. 유무죄에 대한 판단은 상고심 판단을 벗어날 수 없지만, 양형 권한은 2심 재판부에 있기에 벌금 100만원 이상을 선고할지가 관건이다.
파기환송 결정만으로도 이 후보는 사법리스크를 부각시키는 보수진영의 공세에 휩싸이게 된다. 불확실성이 커지기에 민주당 내에서 후보교체론을 비롯해 '만약을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수 있다.
파기환송심 선고 시점 역시 변수로 떠오른다. 6월 3일 대선이 불과 한 달 여 앞으로 다가온 시점에서 이때까지 선고가 이뤄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대통령은 내란 또는 외환의 죄를 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재직 중 형사상의 소추를 받지 아니한다'고 규정한 헌법 84조에 대한 해석으로 이 후보의 운명이 갈릴 수 있다.
이 후보는 이 사건 이외에도 ▷위증교사 ▷대장동·위례·백현동 및 성남FC 사건 ▷불법 대북 송금 ▷법인카드 유용 사건 등 4개 재판을 받고 있으나 대선 전 선고가 나올 사건은 없다.
댓글 많은 뉴스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