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보는 오늘의 칼럼

오피니언 최신기사

  • [관풍루] 우원식 국회의장, “극한 갈등과 대치가 정치인에서 열성 지지자들로 확장되고 있다” 언급

    ○…우원식 국회의장, "대통령 권력을 목표로 한 극한 갈등과 대치가 의회를 넘어 광장으로, 정치인에서 열성 지지자들로 확장되고 있다"고 언급. 남 얘기 하네. 그쪽 친정 사람들이 그렇게 만들었잖아? ○…국민의힘...

  • [세풍] 못 믿을 정부 행정전산망

    윤석열 정부가 '세계 최고의 디지털정부'라고 내건 구호를 거둬들여야 할 판이다. 국가 행정전산망이 최근 2년 사이 짧게는 서너 달 간격으로 오류를 일으키거나 먹통 사태를 빚고 있다. 새로운 전산망을 도입한 ...

  • [야고부] 기후변화

    60년쯤 지나면 서울 기준 하루 최고기온 33℃ 이상인 폭염일수가 110일이나 된다. 한여름 찜통더위가 석 달 이상 이어진다. 게다가 1년의 절반 이상은 여름 날씨다. 열대야는 지금보다 8~9배 늘어나 100일가량 된...

  • [매일희평] 좌동훈 우원석과 사쿠라 프레임

  • [화요초대석] 한국의 미래, ‘전(錢)박사’에게 물어라.

    한국은 지금 중국의 C커머스 업체 테무, 알리의 공습에 난리가 났다. 불과 1년여 만에 두 회사의 가입자 수는 한국 최대 업체 가입자 수의 50%에 육박한다. 중국 공급과잉의 수출이다, 유해 물질 범벅이다, 개인...

  • [사설] 분노한 환자 단체 내달 거리 집회, 醫政 대치 멈춰라

    진료 공백 장기화에 분노한 환자들이 아픈 몸을 이끌고 거리 집회를 갖는다. 보건의료 노조는 이달 말까지 진료 정상화가 안 되면 전면 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소비자 단체는 휴진에 동참한 병·의원 이용 ...

  • [사설]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이번엔 꼭 이뤄내야

    대구 시민의 숙원인 낙동강 상류 취수원 다변화에 대해 최근 정부가 긍정적인 첫 공식 입장을 내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10일 경북 상주에서 열린 '맑은물 하이웨이(취수원 다변화)' 사업 간담회...

  • [사설] 국민의힘 당 대표 선거, 무기력·웰빙 체질 걷어낼 전기(轉機)

    국민의힘 당 대표 및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전당대회(7월 23일)를 앞두고 5선의 윤상현 의원이 당 대표 선거 출마를 선언한 데 이어 23일 나경원 의원,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출...

  • [관풍루] 올 여름 더위 사상 최악될 수도

    ○…더불어민주당, 여당 당권 주자들 향해 "국민 마음을 돌리는 첫째 길은 국회 등원". 친윤·반윤 권력 다툼보다 집권당 본분에 충실하라고 했다는데, 이재명 대표의 대권 가도 마련에 여념 없는 야당이 할 말은 아...

  • [야고부] 에릭센의 동화

    축구 종가 영국의 잉글리시 프리미어리그에서 의외의 팀이 우승한 가까운 사례로 2015~16 시즌 레스터시티를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극적인 승부를 관용구처럼 '각본 없는 드라마'라 표현하는데 영국 언론...

  • [정경훈 칼럼] 법의 탈을 쓴 무법적 폭거 '이재명 방탄법'

    유권자 1인 1표제 보통 선거를 기반으로 한 의회 체제하에서도 독재는 가능하다. 그것은 외양은 의회 민주주의이지만 실상은 '합법적 독재'다. 이는 기존 법률을 개폐하거나 새로운 법률을 만드는 방식으로 이뤄...

  • [기고] 그 입, 다물라

    강민구 신임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민주당의 아버지는 이재명 대표"라며 "집안의 큰어른으로 영남 민주당의 발전과 전진에 계속 관심을 가져줬다"고 치켜세운 가운데 국민의힘은 공식 석상에 어울리지 않는 '...

  • [매일칼럼] 대왕고래가 서해에 있다면?

    요즘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반도체 기업은 단연 엔비디아이다. 비록 일일천하에 그쳤으나 지난 18일에는 시가 총액 3조3천350억달러(약 4천600조원)를 기록, 몸값이 최고로 비싼 회사가 됐다. 이는 국내 코...

  • [매일희평] 초법 집단의 아버지 대 법자 집단의 아버지

  • [매일춘추] 미술을 즐기는 방법

    누군가에게 미술은 너무 어렵다고 한다. 전시장에 들어가면 무엇을 그린 것인지 도무지 모르겠는 그림들이 자신을 향해 덤벼드는 것 같다고 이야기한다. 이는 미술에 있어서 '정답'을 찾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학...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