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치러진 경북 교육감 및 대구.경북 교육위원 선거는 월드컵 열기와 이어진 지방선거 바람 때문에 시.도민의 관심은 낮았지만 과열.혼탁상은 정치판 못지 않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교육감 선거와 교육위원 선거 모두 정책이나 공약 대결보다는 파벌주의, 지역 이기주의 등에 따른 이합집산이 당선자 결정의 주 요인이 된 데 대해 교육계 스스로 반성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았다.
또 상호 비방, 흑색 선전, 금품 살포 등 불.탈법이 공공연하게 자행돼 선관위의 경고, 검찰 고발 등이 잇따름으로써 "그래도 우리 사회에서 깨끗함을 보여야 할 교육계마저…"라는 학부모들의 탄식이 잇따른 것도 이번 선거가 남긴 오점이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선거 후유증이다. 선거과정에서 출신 지역.고교.대학.이익단체 등에 따른 교육계의 분열상이 고스란히 드러나고 후보 상호간은 물론 지지 계층 사이에까지 깊은 감정의 골을 남김으로써 화합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것.
경북의 한 초교 교장은 "선거가 끝나자마자 이긴 측은 논공행상에 바쁘고 진 측은 보복의 칼날을 두려워하는 분위기에 휩싸였다"면서 "교육계 스스로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이같은 풍토는 사라져야 한다"고 했다.
상당수 교육위원 후보들이 실현불가능한 공약을 남발한 점도 향후 교육계가 짊어져야 할 부담으로 지적됐다. 대구의 한 고교 교사는 "교육감 선거에서도 나오기 힘든 공약들이 적잖았는데 전문성이 부족한 일부 학부모들은 솔깃해하는 눈치였다"면서 "향후 이같은 이야기들이 거짓임을 알았을 때 깊어질 교육계에 대한 불신은 어쩔 것이냐"고 했다.
한편 이번 선거는 대구.경북 1만3천여명의 학교운영위원들에게 투표권을 줌으로써 종전 학교운영위원장들이 참가하던 선거 때보다 참여 범위가 한층 확대됐지만 전체 학부모나 교사들의 뜻을 반영하기는 여전히 역부족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교장, 교감이 대부분 교육위원으로 참가하고 지역위원 가운데 상당수는 교육공무원인 점, 선거운동이 제한됨으로써 후보에 대한 이해보다는 인맥, 학맥 등에 휘둘린 점 등은 직접 선거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교육계 여론에 무게를 더했다.
김재경기자 kj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12년 간 가능했던 언어치료사 시험 불가 대법 판결…사이버대 학생들 어떡하나
한동훈 "이재명 혐의 잡스럽지만, 영향 크다…생중계해야"
[속보] 윤 대통령 "모든 게 제 불찰, 진심 어린 사과"
홍준표 "TK 행정통합 주민투표 요구…방해에 불과"
안동시민들 절박한 외침 "지역이 사라진다! 역사속으로 없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