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국 최다' 대구 미분양주택 4개월 연속 감소…준공후미분양도 감소세

경북 미분양주택은 5개월 연속 감소…준공후미분양은 다소 증가

대구 시내에서 바라본 시가지 아파트 모습. 기사 내용과 무관함. 매일신문DB
대구 시내에서 바라본 시가지 아파트 모습. 기사 내용과 무관함. 매일신문DB

대구의 미분양 주택 물량이 넉 달 연속 감소세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두 달째 줄어들었다. 다만 미분양 물량은 전체의 17.2%를 차지해 여전히 전국 최다를 기록했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6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대구 미분양 주택이 1만1천409가구로 전월인 5월(1만2천733가구)보다 1천324가구(11.6%) 감소했다.

대구는 지난 2월 미분양 주택이 1만3천987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3월(1만3천199가구)과 4월(1만3천28가구), 5월(1만2천733가구)에 이어 4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미분양 감소에는 분양 물량 자체가 줄어든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공사가 마무리 되고도 분양되지 않아 '악성 미분양'이라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도 줄고 있다. 지난 6월 말 기준 준공 후 미분양은 861가구로 전월(919가구)보다 58가구 감소했다. 지난 4월(1천17가구) 1천가구를 넘어선 뒤 2개월 연속 줄어들고 있다.

다만 대구는 전국 미분양 물량(6만6천388가구)의 17.2%를 차지해 여전히 전국 최다를 기록했다.

경북은 대구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미분양 물량이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6월 말 기준 경북 미분양 물량은 8천276가구로 전월인 지난 5월(8천639가구)보다는 363가구(4.2%) 감소했다.

경북의 미분양 물량은 지난 1월(9천221가구) 정점을 찍고 5개월째 감소세를 이어오고 있다. 다만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 5월(840가구)보다 6가구(0.7%) 증가한 846가구로 집계됐다.

전국 미분양 주택(6만6천388가구)도 전월보다 3.6%(2천477가구) 감소했다. 미분양 주택은 3월부터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수도권 미분양이 1만599가구로 2.2%(240가구) 감소했고, 지방 미분양도 5만5천829가구로 3.9%(2천237가구) 줄었다.

다만 준공 후 미분양은 9천399가구로 전월보다 5.7%(507가구) 증가했다. 이는 2021년 4월(9천440가구)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주택 거래량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6월 전국의 주택 매매량은 5만2천592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5% 증가했다. 수도권 주택 매매량이 2만830건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0.8%, 지방은 2만8천603가구로 0.01% 증가했다.

6월 전월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21만3천265건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0.3% 증가했다. 전세 거래량(9만7천964건)이 작년 같은 달보다 7.5% 줄었지만, 월세 거래량(11만5천301건)은 8.1% 늘었다. 올해 6월까지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55.3%를 기록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